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서 습관 없는 고교생 도서 (입문서, 흥미도서, 독서루틴)

by gyulddol1213 2025. 4. 1.
반응형

책 읽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등학생들도 독서를 통해 사고력과 집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수능, 내신, 논술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글쓰기와 면접까지 연결되는 독서 습관은 학업의 기반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독서가 익숙하지 않은 고등학생들이 가볍게 시작할 수 있는 추천 도서와 독서 루틴 만들기 전략을 안내합니다.

1. 독서 입문자에게 적합한 추천 도서

처음 독서를 시작하는 고등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렵지 않고 흥미로운 책’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독서에 대한 거부감은 대부분 첫 선택에서 오며, 진입 장벽이 낮은 도서를 통해 독서에 흥미를 느끼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장 먼저 추천할 도서는 채사장의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시리즈입니다. 철학, 역사,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내용을 쉽고 흥미롭게 정리해주기 때문에, 인문 교양에 대한 거부감 없이 진입할 수 있습니다. 만화 형식의 이과적 교양 도서인 『만화로 배우는 물리학』이나 『만화로 배우는 경제학』 시리즈도 추천할 만합니다. 또한 에세이 형 도서인 김영민 교수의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는 문체가 가볍고 읽기 쉬워 독서 경험이 부족한 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합니다. 책을 읽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또 다른 도서는 김훈의 『자전거 여행』입니다. 자연과 삶을 바라보는 섬세한 시선은 단순한 이야기 이상의 감동을 전달하며, 문장 감각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입문서들은 교과서와는 다른 지적 재미를 제공하며,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책을 찾게 만드는 좋은 첫걸음이 됩니다. 독서 습관은 어렵게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책 한 권에서 출발합니다.

2. 흥미와 몰입감을 주는 분야별 도서

독서에 흥미를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다룬 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분야별로 재미와 몰입도를 동시에 줄 수 있는 도서를 소개합니다. 인문 분야에서는 『열한 계단』(채사장 저)을 추천합니다. 각 장이 독립된 주제로 구성돼 있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으며, 읽는 동안 철학적 질문을 자연스럽게 마주하게 됩니다. 자기계발서 중에서는 정문정 작가의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도 좋습니다. 공감 가능한 이야기와 현실적인 조언으로 책을 멀게 느끼지 않게 합니다. 과학 분야에 흥미가 있다면 정재승의 『열두 발자국』이 좋은 선택입니다. 인간의 뇌와 사고, 사회와 연결된 과학적 통찰을 흥미로운 사례로 풀어내며 과학에 대한 흥미를 자극합니다. 소설을 좋아한다면 이도우의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이나 김동식의 『회색 인간』 같은 짧은 단편집이 가독성이 좋고 몰입하기 쉽습니다. 만약 독서 자체에 부담을 느낀다면, 독립출판 에세이나 짧은 글 형식의 책부터 시작해보세요. SNS에서 화제가 된 책들이나 북튜버 추천 도서들도 흥미 유입에 큰 도움이 됩니다. 흥미가 생기면 자연스럽게 더 두꺼운 책, 깊이 있는 책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3. 독서 습관 만들기 전략

책을 좋아하지 않던 학생도 일정한 패턴을 만들면 독서를 습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등학생은 공부와 병행해야 하므로 무리 없는 방식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실천 가능한 독서 습관 만들기 전략입니다. 첫째, 짧은 시간부터 시작하기. 하루 10분, 딱 한 챕터 읽기처럼 아주 작고 가벼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 자습 전, 점심시간 직후, 자기 전 10분 등의 틈새 시간을 활용해보세요. 두꺼운 책보다는 에세이, 칼럼, 만화책 등 짧은 글로 먼저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독서 환경 만들기. 책상에 책을 펼쳐두거나, 책갈피를 예쁜 것으로 바꾸는 등의 작은 변화도 독서를 유도하는 자극이 됩니다. 눈에 자주 보이는 곳에 책을 두고, 읽은 페이지를 체크하면서 성취감을 느끼는 것도 중요합니다. 셋째, 읽고 공유하기. 친구나 가족, SNS에 간단히 책의 한 문장이나 감상을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독서에 대한 흥미가 생깁니다. 독서 후 한 줄 기록을 남기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이 과정은 글쓰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독서 목표 시각화하기. 한 달에 몇 권 읽기, 추천 도서 완독 리스트 만들기 등 시각적 목표를 정리해두면 지속적인 독서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읽은 책을 쌓아가며 성취감을 느끼는 것도 고등학생에게는 강한 동기부여가 됩니다.

결론

독서가 어려운 고등학생이라면 흥미로운 책 한 권으로 시작해보세요. 쉬운 책부터 읽고, 짧은 시간만 투자해도 독서 습관은 만들어집니다. 꾸준한 독서는 학습력, 표현력, 사고력을 모두 끌어올리는 최고의 공부법입니다. 오늘, 가볍게 한 페이지를 펼쳐보세요.

반응형